안녕하세요!!!
회계를 공부하거나 사업을 하면 ‘차변’과 ‘대변’이라는 개념을 접하게 됩니다. 특히, 재무제표를 작성하거나 회계 장부를 볼 때 이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재무 상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차변과 대변’ 뜻과 차이점,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차변과 대변의 뜻
1) 차변이란?
차변은 자산의 증가, 비용의 발생, 부채의 감소를 나타내는 회계 용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산을 구매하거나 비용이 발생할 때 차변이 기록됩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사무용품을 구매하면, 사무용품 계정이 증가하므로 차변에 기록됩니다.
직업 급여를 지급하면, 인건비(비용)가 발생하므로 차변에 들어갑니다.
2) 대변이란?
대변은 부채의 증가, 자본의 증가, 수익의 발생을 나타냅니다. 즉, 기억이 빚을 지거나 수익을 창출하면 대변에 기록됩니다. 회계에서는 차변과 대변이 항상 균형을 맞춰야 하므로, 한쪽에서 증가한 금액만큼 반대쪽에서도 변동이 있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회계 장부에 매출이 발생하면, 이는 회사의 수익 증가이므로 대변에 기록됩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면, 부채가 증가하는 ㄴ것이므로 대변에 기입됩니다.
차변과 대변의 어원
차변 借邊 의 차 借는 빌리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 회계에서는 회사가 빌린 자산을 차변에 기록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반면, 대변 貸邊 의 대 貸는 빌려주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회사가 부채를 지거나 타인에게 자본을 제공할 때 대변에 기록했던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단순히 차변=왼쪽, 대변=오른쪽 이라는 개념으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돈의 흐름을 반영한 용어입니다.
차변과 대변의 차이점
구분 | 차변 | 대변 |
개념 | 자산증가, 비용발생, 부채감소 | 부채증가,자본증가,수익발생 |
회계장부위치 | 왼쪽(좌측) | 오른쪽(우측) |
대표항목 | 현금, 상품구입,급여지급 | 매출,대출금,투자금유입 |
사용 예시 | 기계구입(자산증가), 광고비지급(비용발생) | 제품판무(수익증가),은행대출(부채증가) |
직장에서의 실제 사례
1) 차변 사례
제가 예전에 회사에서 회계 정리를 할때, 사무실 임대료를 지급한 적이 있는데요 , 회사의 돈이 나갔고 , 이는 비용 증가에 해당하기 때문에 차변에 ‘임대료’로 기록되었습니다.
또한, 신규 장비를 구매했을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컴퓨터를 새로 샀다면 이는 ‘자산 증가’로 간주되므로 차변에 컴퓨터 장비 비용을 입력했습니다.
2) 대변 사례
한 번은 거래처로부터 상품을 판매한 대금을 입금받은 적이 있습니다. 이는 매출(수익)증가에 해당하기 때문에 대변에 ‘매출’로 기록되었습니다.
또한, 회사가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을때도 대변에 기록했습니다. 부채가 증가한 것이므로 ‘차입금’항목이 대변에 입력되었죠
차변과 대변,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차변과 대변을 이해하면 회사의 재무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차변이 많다면?
회사의 자산이 많거나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의 성장과 관련된 지출이 많은 경우 차변이 증가합니다.
▶ 대변이 많다면?
회사가 빚을 지거나 매출이 증가했다는 의미입니다. 매출 증가라면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지만, 부채 증가라면 자금 흐름을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오늘은 차변 대변의 개념과 차이점,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살펴봤습니다.
▶ 차변은 자산증가, 비용발생, 부채감소를 기록하는 영역
▶ 대변은 부채증가, 자본증가, 수익발생을 나타내는 영역
▶ 차변과 대변은 항상 균형을 맞춰야 회계 장부가 올바르게 작성됩니다.
이제 차변과 대변을 이해했다면, 회계 장부를 볼 때 좀 더 쉽게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실무에서 하나씩 경험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질 거에요 !!
'꿀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르시즘 뜻, 꾸준히 주목받는 이유는? (1) | 2025.02.19 |
---|---|
물성매력? 손끝에 감각에 다시 집중하다 (0) | 2025.02.18 |
옴니보어란 무엇일까? 요즘 소비 트렌드~ (1) | 2025.02.17 |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 왜 사람들은 이것에 열광하는가? (0) | 2025.02.15 |
전결과 대결의 뜻 차이점이 뭘까 (0) | 2025.02.08 |